layout: single title: “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이해 (공통) #1” categories: H-Mobility Class test: [자율주행, 비트코인, 비트코인 위험성, 토큰] toc: true author_profile: false sidebar: nav: “docs”
자율주행 기술
자율주행 기술 5단계
자율주행 기술 지능화가 될 수록 단계는 더욱 높아진다. 미국 자동차공학회(SAE)에서 정의한 자율주행 단계(0~5 단계)에 대해 공부했다. 0~2단계는 차량 통제권이 운전자에게 있으며 3단계 이상부터는 차량통제권이 자율주행차에게 넘어가게된다. 아래에서 각 단계 별 특징을 자세히 알아보자.
0단계 [비자동화]
- 전혀 자동화가 되지 않은 비자동화 단계
- 전방 충돌 경고(FCW), 후측방 충돌 경고(BCW)
- 경고/일시 개입으로 자동화 없이 운전 보조
1단게 [운전자 보조]
- 운전자의 가감속, 조향을 보조하는 형태
- 스마트크루즈 컨트롤, 차로 유지 보조 기능
2단계 [부분 자동화]
- 특정 주행 모드에서 시스템이 조향 및 가감속의 자동화 수행
- 운전자는 전방 주시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어야 함
- 고속도로 주행 보조
3단계 [조건부 자동화]
- 자율주행이 가능한 특정 환경에서만 스스로 주행
- 자동주행이 가능하지 않은 환경이 되면 운전자에게 운전권을 이행하므로 운전자의 모니터링 필요.
- 자동주행이 가능하지 않은 상황을 대비하여 언제든지 운전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함.
- 현대, 테슬라 등 3단계 조건부 자동화를 갖춘 자율주행차의 판매를 위해 개발 중
- LiDAR와 같은 고비용의 센서 사용 어려움
- 성능의 척도는 얼마나 자주 제어권을 운전자에게 넘겨주느냐에 있음.
4단계 [고도의 자동화]
- 특정 제한 지역 또는 영역에서는 steering wheel 조작과 같은 운전자 개입이나 모니터링이 필요 없음.
- 정해진 지역 밖에서는 운전자 개입 필요.
- 공공버스, 셔틀, 공유 차럄, 렌트 목적 하에 사용 가능성이 높음.
- 고비용의 자율주행 센서 사용 가능
5단계 [완전 자율주행]
- 자율주행의 궁극적인 완전 자율주행 상태
-
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운행가능한 모든 상황에서의 궁극의 자율주행 상태
댓글남기기